미국내의 의료비는 그 자체가 사회문제가 될 정도로 엄청나게 비싸서 아프지 않고 지내는 것이 제일 좋은 일이라 할 수 있지만 임의로 되는 일이 아니므로 미리 의료 보험에 가입해 두는 것이 좋다. 학생과 교환 교수등의 방문자는 서로 의료 보험이나 의료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안내하겠다.가. 학생의 경우

1) 의료 보험 : 본인은 반드시, 가족은 원하는 경우 의료보험에 가입하게 된다. 학생 본인의 경우는 학교 당국에서 지정한 의료보험에 가입해야만 한다. RA, TA등을 하는 경우에도 매 학기 등록시 의료 보험료는 따로 내야 한다. (1999-2000년도의 경우, 대학원생 $183, 배우자 $642, 자녀 $320)

2) McKinley 병원의 이용

가) 중병이 아닌 경우에는 학교 내의 McKinley 병윈에서 (1109S. Lincoln Ave. 전화:333-2701)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으므로 병원 당국에서 발행하는 안내 소책자를 참고하여 진료를 받으면 된다.

나) 응급환자나 일반 감기를 제외하고는 사전에 appointment ( 전화: 333-2711)가 필요하며 본인이 의사를 선택하여 진료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치과 진료는 받을 수 없다.

다) 학생 자신이나 가족이 의료보험 혜택을 받아야 할 경우에는 반드시 Mckinley 병원에 문의한 후 (응급시에도 일단 Mckinley 병원을 거쳐야 함) 그 곳에서 권하는 병원에 가 는 것이 좋다.

나. 방문자의 경우

1) 방문교수, 연구원등을 포함하여 J 비자를 소지한 방문자는 의료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여야 한다.

2)자비 혹은 한국에서 재정 지원을 받는 방문자들 가운데 이미 해외 여행자 보험등에 가입한 사람들의 경우는 일리노이 대학교의 International Faculty and Studies (910 S. 5th st. C. 전화: 333-6104, Fax 265-0810)에 가서 미흡한 사항이 있는가를 확인한 후 절차를 밟으면 된다.

3) 한국에서 보험에 가입하지 않고 미국에 온 사람의 경우는 2)의 사무실에 가면 미국 보험 회사를 소개해 주며 대체로 그 비용은 한달에 $400-$500 정도가 든다. 비용이 부담되는 경우에는 미국에 파견되어 있는 현대 해상 화재 보험(주) (2609 F W. 235th St. Torrance, CA 90505, 전화: 530-0624), CIGNA, 등의 한국인 해외 여행자를 위한 보험회사에 연락하거나 다시 한국으로 연락하여 해외 여행자 보험에 가입하면 된다.

4) 일리노이 대학에서 월급 등의 재정 지원을 받는 방문자 (Post Doc., 혹은 초빙교수)는 학교에서 본인에 대해서는 지원을 해 주지만 가족의 경우는 따로 지불해야 한다. 관련문의는 Benefits Center(807 Wright st. 4th floor, MC-311: 전화: 333-3111, Fax 244-5604)로 하면 된다.

다. 학생과 방문자 공통 사항

1) 1차 진료 의사의 선정 : 의료 보험 가입 후 아프기 이전에 미리 Primary Care Physician을 결정해 주는 것이 좋으며 연락처는 손 쉬운 곳에 적어 둔다.

2) 진료 예약 : 응급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진료를 받고 싶을 때 의사와 미리 전화로 약속을 해야 한다.

3) 의료비의 납부 : 모든 의료비의 납부는 진료를 받은 후에, 그 곳에서 청구서를 발행하게 되며 이를 수령한 후 우편으로 개인의 check나 신용 카드를 통하여 지불하면 된다.

4) 의료비의 보조 : 설혹 돈이 없어도 아프면 일단 병원에 가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이곳 대형 병원에는 Social Work 사무소가 있어서 가난한 사람이나 병원비를 납부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사람에게 의료비를 보조해 주기도 한다 (유학생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가지 특기할 사실은 Covenant Hospital의 경우 Christian Charity Fund의 보조를 받을 수 있다는 것.

5) 공립 진료소 : 이곳에는 우리나라의 보건소와 같은 형식의 공립 진료소가 있어서 18세 미만의 모든 어린이들은 무료로 진료받을 수 있으며 성인들도 치과를 포함한 모든 과의 할인치료를 받을 수가 있다. (3 장의 ‘자녀 학교 입학 및 교육 참조)

6) 한인교회의 의사 : 진료와 관련되는 일로 사정이 여의치 않을 경우 한인교회의 정현철 장로에 연락하여 상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정현철  장로 :  1802 S. Mattis Ave.    Champaign, IL 61821     Main Office: (217) 383-3355
한인 치과 의사: Kelvin Jung   Q-Dental    3101 Village Office Place | Champaign, IL 61822      (217) 352-4646             https://www.qdentalclinic.com/

7) 간단한 약품의 구입 : 의사의 처방이 필요없는 감기약, 해열제, 진통제, 몇몇 위장약, 무좀약 등은 Osco, Jerry’s IGA, K-Mart, Walgreen 등에서 구입할 수 있다. 파스나 보약 등은 한인 식품점에서 구할 수 있다 (AM-KO, 우리식품).
8) 미국에서 의사는 일반의(General practitioner) 와 전문의로 나누어지는데 전문의를 보기 위해서는 대개의 경우 일반의의 추천이 필요하다.
일반의:내과의사, 가정의사, 소아과등을 포함한다.

9) 지역병원 안내 : 이 지역에는 대형 병원 및 기타 개인병원이 많이 있으나 개인 병원은 대체로 가정의가 많다. 전화번호부의 Yellow Page의 “Physician & Surgeon” 란에 의사 및 병원의 list를 일괄 정리해 놓았으므로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주요 병원 몇 군데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Carle Foundation Hospital
611 W. Park St., Urbana
전화: 383-3311, (응급) 383-3313

(2) McKinley Hospital
1109 S. Lincoln st., Urbana
전화: 333-2701

(3) Provena Covenant Hospital
1400 W. Park St., Urbana
전화: 337-2000, (응급) 337-2131

(4) Christie Clinic
101 W University av., Champaign
전화: 366-1200, (응급) 337-2131

(5) Francis Nelson Health Center
1306 Carver Dr. Champaign
전화: 356-1558, 359-2263

(6) Public Health Center
710 North Neal Champaign
전화: 352-7961

(7) Planned Parent Clinic – 임신에 대한 치료
302 E. Stoughton Champaogn
전화: 359-8022